장애인은 ‘받는’ 존재가 아닌, 우리와 ‘함께 하는’ 존재가 되어야 합니다.
밀알복지재단 네팔 사업장에는 장애인들의 지역사회 복귀와 취?창업을 지원하기 위한 ‘VOICE 직업훈련센터’가 있습니다. 이 센터는 지난 2018년부터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지원을 받아 네팔척수장애인협회(Spinal Injury Sangh Nepal)와 함께 네팔 카브레 지역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네팔 전 지역에서 오는 장애인들에게 직업훈련, 전문 심리상담 등의 장애인재활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밀알복지재단은 직업훈련 후 지역사회와 함께 하는 장애인들의 삶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지난 4월 한 달간 방문 모니터링을 진행했습니다.
네팔 사업장, 장애인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입니다
밀알복지재단 네팔 사업장은 VOICE 직업훈련센터에 참여하는 장애인 훈련생들 뿐 아니라, 장애인 수료생들이 지역사회에서 경험하는 변화를 확인하고 그들의 목소리를 사업에 반영하고자 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밀알복지재단 해외사업부의 네팔 사업장 담당자와 네팔 사업장의 한국인 파견 프로젝트 매니저를 비롯한 현지직원들이 팀을 꾸려 약 열흘에 걸쳐 네팔의 동쪽부터 서쪽까지 4개 주 9개 지역을 직접 방문했습니다. 수료생들의 실제 취·창업 현장을 모니터링하고 수료생들과 가족, 이웃들의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친척과 이웃들의 든든한 파트너, 육타(Yukta)
모니터링을 통해 직접 방문한 장애인 수료생들은 경제활동을 통해 소득이 발생한 뒤 다양한 영역에서 삶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었습니다. 또한 VOICE센터를 떠난 뒤에도 자신의 지역사회에 영향력을 끼치고 스스로 변화를 끊임없이 만들어내고 있었습니다.
첫 번째로 방문한 바그마띠 주의 신둘리 지역에 살고 있는 육타 바하두르 룽겔리(Yukta Bahadur Lungeli) 장애인 수료생은 VOICE 직업훈련센터를 통해 재봉 기술을 배워 가내 창업한 가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육타 수료생은 인근 마을에 살고 있는 친척들에게 자신이 배운 재봉 기술을 가르쳐주어 친척 여성들도 자신의 마을에서 경제활동을 시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제는 주문이 많이 들어올 때 그들과 함께 옷을 만들게 되면서, 육타 수료생은 친척들에게 든든한 ‘파트너’가 되었습니다. 또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비장애인 이웃 가정들에게 도움을 제공하는 존재가 되었습니다.
“제가 살고 있는 마을은 주로 염소와 가축을 기릅니다. 하지만 직업훈련을 마치고 창업하기 전에는 의료비를 마련하기 위해
가지고 있던 염소와 가축을 모두 팔아야 했고, 가정형편도 점점 어려워졌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재봉 기술로 경제활동을 하면서 더 이상 가진 것을 팔지 않아도 의료비와 아이의 학비를 마련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식량을 마련하기 어려운 건기가 되면 이웃들이 저를 찾아옵니다. 그럴 땐 함께 돕기도 하면서 이웃들과 안정적인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 육타 바하두르 룽겔리 (2021년 직업훈련강사 양성과정 수료생)
지역 여성들의 희망, 비슈니(Bishni)
룸비니 주의 코할푸르 지역에서 재봉 과정을 수료하고 창업을 한 비슈니 부다 마갈(Bishni Buda Magar) 장애인 수료생은 신생아 용품을 특화하여 주 정부와 병원의 모든 신생아 의류 및 물품을 독점 납품하는 가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비슈니 수료생의 친척들은 그녀의 재봉 기술과 자신감 있는 모습을 보고 물품을 납품할 수 있는 병원들을 함께 찾아주기도 했습니다. 여성 장애인으로서 성공적인 재활을 마치고 가게를 운영하는 비슈니 수료생은 가족과 친척, 이웃들의 장애인식을 개선하였을 뿐만 아니라, 지역 여성들의 희망이 되고 있습니다.
비슈니 장애인 수료생 인터뷰 현장
“창업 당시, 저의 가족들은 제 가능성을 믿어주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저는 VOICE 직업훈련을 통해 혼자서라도 도전하기로 했습니다.
혼자 휠체어를 타고 옷감을 사서 옷을 만드는 저를 보고, 삼촌과 친척들은 여성 장애인이라도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그래서 이제 저는 이웃 여성 4명을 고용한 고용주가 되었습니다.
나이가 많아 가족의 돌봄을 받던 이웃 여성과 소득이 없어 가족을 의지해야 하는 또래 여성들이 저와 함께 일을 하고 있습니다.
저 뿐 아니라, 여성들이 조금이나마 가정에서 경제권과 발언권을 가질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겠습니다.”
- 비슈니 부다 마갈 (2022년 재봉기초과정 수료생)
우리 마을의 롤모델, 록만(Lokman)
마지막으로 방문한 록만 올리(Lokman Oli) 장애인 수료생은 네팔의 가장 서쪽 산간 지역인 카르날리 주 살랸 지역에 살고 있습니다. 사무직 기초 과정을 수료한 록만 수료생은 주 정부에서 장애인과 청소년들을 위해 운영하는 컴퓨터 학원의 강사로 취업하여 활동하고 있습니다. 매일 한 시간씩 지팡이를 짚고 힘겹게 걸어야 학원에 도착할 수 있지만, 그는 이제 마을 청소년들과 이웃들의 롤모델이 되었습니다.
록만 수료생을 장애인이라는 이유로 동정과 의심의 눈초리로 바라보던 이웃들은 그를 통해 배운 컴퓨터 기술로 자신의 자녀들이 더 나은 미래를 가질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또한 그 누구보다 성실하고 능력 있는 록만 수료생을 보고 그에 대한 신뢰와 기대를 갖게 되었습니다. 이후 이웃들은 컴퓨터 교실을 확대해달라고 주 정부에 요구하기도 했습니다.
“저는 이 마을에서 가게를 운영하고 있는 다모달(Damodar)입니다.
우리 마을은 수도에서도 멀고 산간 지역이기 때문에 가게가 있어도 경제적으로 형편이 어렵습니다.
처음에는 긴가민가했지만 그래도 장애인인 록만에게 컴퓨터 기술을 배워보기로 했고,
이제는 저의 비즈니스를 위해 웹사이트나 홍보물 등을 만들어 다른 지역에까지 비즈니스를 확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저를 본 다른 상인들도 컴퓨터 기술을 배우고 싶어 합니다. 그리고 저와 같이 록만에게 컴퓨터를 배운 사람들은 그의 일이라면 발 벗고 나서서 도와줍니다.
그는 이제 빈곤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희망을 주는 우리 마을의 롤모델입니다.”
- 다모달 (록만 수료생의 학생)
Nothing is for us, Without us
(우리가 참여하지 않은 것은 우리를 위한 것이 아닙니다)
한편, 현재 VOICE 직업훈련센터를 통해 직업훈련에 참여하고 있는 여성 장애인 훈련생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토론(FGD: Focus Group Discussion)을 진행하였습니다.
네팔의 여성 장애인들은 대부분 가족과 지역사회로부터 장애로 인한 편견과 차별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장애를 갖게 되었다는 이유로 이혼을 당하거나, 경제적 능력이 없다는 이유로 가정에서 의사결정권 조차 없습니다. 이를 위해 FGD 토론에서는 여성 장애인 훈련생들이 VOICE 직업훈련센터를 통해 어떤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지, 어떤 삶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지 청취하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저의 남편과 시어머니는 제가 장애인인데 마을을 돌아다니는 것을 부끄러워했습니다.
VOICE 직업훈련센터에서 재봉기초를 배울 때도 저에게 끊임없이 집으로 돌아오라고 했습니다.
제 돈이 아니라서 먹고 싶은 것 하나를 사먹으려면 허락을 받고 눈치를 보며 숨어 지내야만 했습니다.
그런데 VOICE 직업훈련센터가 저에 대한 가족의 편견이 사라질 수 있도록 도움 주셔서,
수료식 당일 남편이 참석해 저를 진심으로 축하해주었습니다.
저는 이제 가족에게 자신 있게 자신감 있게 저의 의견을 이야기하고, 제가 번 돈으로 딸에게 용돈을 줍니다.
그리고 VOICE 직업훈련센터를 통해 여성 장애인의 삶이 얼마나 달라질 수 있는지 알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제가 만나는 여성 장애인들에게 VOICE 훈련센터로 가서 새 삶을 살라고 말할 것입니다.”
- 따라 케이씨 (2021년 재봉기초 수료생 및 2023년 직업훈련강사양성 훈련생)
이처럼 VOICE 직업훈련센터를 통해 달라진 여성 장애인의 삶을 함께 나누었을 뿐 아니라, 여성 장애인들이 더욱 참여하기 쉬운 환경이 조성되도록 고민하였습니다. 그리고 장애인의 의견을 보다 적극적으로 청취하고 반영하고자 이번 5월에는 익명의 의견 청취함을 설치하고, 훈련생 기수별로 성별을 나누어 1회씩 FGD를 운영하기로 하였습니다.
장애인을 위해, 장애인과 함께
밀알복지재단 네팔사업장은 장애인 훈련생들을 직접 방문하고, 의견을 청취하며 그들의 경험을 사업에 반영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VOICE 직업훈련센터를 통해 네팔의 장애인들과 함께 그들의 삶의 변화와 사회통합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네팔 장애인의 완전한 사회통합을 위해, 장애인과 함께 하는 네팔사업장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