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보도자료 [보도자료] 밀알복지재단, 대선 앞두고 시청각장애인 참정권 보장 서비스 추진
2022.02.25

밀알복지재단, 대선 앞두고 시청각장애인 참정권 보장 서비스 추진 


■ 밀알복지재단, 20대 대통령 선거 앞두고 시청각장애인 참정권 보장 서비스 추진 

■ 24일에는 중앙선관위 선거연수원 협조로 선거 의미와 중요성, 절차와 방법 알려주는 교육 실시

■ 사전투표일과 본투표일에는 시청각장애인 유권자에게 촉수화 통역 서비스도 제공

 

24일(목) 헬렌켈러센터에서 진행된 시청각장애인을 위한 찾아가는 국민소통 선거강연

시청각장애인(좌)과 통역사(우)가 촉수화를 통해 선거강연을 듣고 있다




밀알복지재단 헬렌켈러센터(센터장 홍유미)가 3월 9일 20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시청각장애인 참정권 보장 서비스를 추진한다.


24일(목)에는 시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연수원 협조로 ‘찾아가는 국민소통 선거강연’을 실시했다.


교육 현장에는 촉수화 통역사가 배치돼 교육 내용인 주권의 의미와 선거 참여의 중요성, 선거절차 방법 등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왔다.


이날 교육에 참석한 시청각장애인 윤세웅(47)씨는 “선거 강연은 처음 듣게 되었는데 참정권의 의미와 중요성을 깨닫게 된 시간이었다”며 “후보들의 공약을 꼼꼼하게 검토해 투표 날에도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시청각장애인들을 위해 촉수화 통역이 함께 지원되는 교육이 더 많아지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헬렌켈러센터는 다음달 3일에도 시청각장애인 당사자들과 함께 점자 공보물을 살펴보고, 후보별 장애인 공약을 살피는 등 정보를 교환하는 시간을 갖는다.


또한 사전투표일과 본투표일에는 투표 참여를 위해 통역 서비스를 원하는 시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촉수화 통역인도 지원할 계획이다.


서비스 신청 시 촉수화 통역인이 신청자가 요청한 시간과 장소로 직접 찾아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투표 절차 설명 ▲투표장 내 동선 안내 ▲투표 용지 설명(후보자 이름과 위치) ▲기표용구 사용방법 안내 ▲투표보조용구 신청 등 시청각장애인의 원활한 투표 참여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신청가능 대상자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시청각장애인으로, 시각 기능과 청각 기능 모두를 전혀 활용할 수 없는 전농전맹의 시청각장애인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통역 서비스 지원을 원하는 시청각장애인은 밀알복지재단 헬렌켈러센터 이메일(wsjung@miral.org) 또는 전화(070-8708-9917)로 신청하면 된다. 대리인을 통한 신청도 가능하다.


밀알복지재단 헬렌켈러센터 홍유미 센터장은 “시청각장애인들은 정보접근이 어려운 장애 특성으로 인해 ‘선거에 왜 참여해야 하는지’ 조차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며 “이번 서비스 지원을 통해 시청각장애인들이 스스로의 권리를 행사하는 수단인 ‘참정권’에 대해 인식하게 되길 희망하며, 적극적으로 선거에 참여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2019년 설립된 국내 최초의 시청각장애인지원센터인 밀알복지재단 헬렌켈러센터는 시각과 청각의 기능이 동시에 손실된 시청각장애인의 권리 증진을 위한 전문기관이다.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시청각장애인의 기본권을 보장하고 사회에서 더불어 살아갈 수 있도록 당사자 교육, 인식개선, 옹호활동, 입법운동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지난 2019년 9월에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 ‘시청각장애인지원법(헬렌켈러법)’ 제정에 동의하는 1만8천여명의 시민서명을 전달해 장애인복지법 일부개정안이 본회의를 통과하는데 기여한 바 있다.

 



보도자료 문의: 홍보실 / 070-7462-9047 / pr@miral.org

밀알복지재단은 1993년 설립되어 장애인, 노인, 지역사회 등을 위한 49개 운영시설과 9개 지부를 운영하고 있으며 해외 11개국에서 아동보육, 보건의료, 긴급구호 등 국제개발협력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2009년, 2014년에는 삼일투명경영대상에서 각각 ‘장애인부문 대상’, ‘종합 대상’을 수상해 투명성을, 2018년에는 서울시복지상 장애인권분야 우수상을 수상하며 전문성을 인정받았으며 2015년에는 유엔 경제사회이사회(UN ECOSOC)로부터 ‘특별 협의적 지위’를 획득하며 글로벌 NPO로서 지위와 위상을 갖추었습니다.